반응형
○ 플라시보(placebo) : '마음에 들도록 한다'는 뜻의 라틴어로 ‘가짜약’을 의미한다.
○ 신약의 효과에 관한 임상실험
▶ 이중맹검법(double blind test)
→ 환자와 의사 양쪽에 치료용 약과 플라시보의 구별을 알리지 않고, 실시하는 약효의 검사법.
→ 환자 쪽 또는 의사 쪽에만 투약내용을 알리지 않을 경우는 단순맹 검법이라 함
→ 어떤 약품을 개발했을 때 임상효과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플라 시보를 이용한 검사를 반드시 거치도록 하고 있다.
가짜 약을 투 여한 군과 진짜 약을 투여한 군을 비교, 확실한 유효성이 드러나야 된다.
▶ 실험 방법
진짜약 | 플라시보약 | |
A약 | 치료 O | 치료 X |
B약 | 치료 O | 치료 O + X |
→ 신약 A의 효과는 믿을 수 있으나, 신약 B의 효과는 의심스러움
○ 플라시보 효과(= 위약효과, placebo effect)
▶ 약효가 전혀 없는 거짓 약을 진짜 약으로 가장, 환자에게 복용토록 했을 때 환자의 병세가 호전되는 효과를 말한다.
○ 플라시보 효과가 잘 듣는 사람의 유형
⑴ 피암시성이 높은 환자 (특히 처음 2주간이 특히 더 크게 나타남)
⑵ 환자가 의사나 병원을 신임하면 신임할수록 잘 나타남
⑶ 한번 약을 먹어서 그 때문에 병이 나은 경험자일수록 조건반사적인 효과 를 봄
→ 피암시성 : 암시에 의한 암시과정이 일어나기 쉬운 성질
반응형
'정보 b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괴담 - 보스토크 호수 사건 (0) | 2020.12.31 |
---|---|
북한의 첨단과학 기술에 대해서 (0) | 2020.12.31 |
러시아 피라미드 & 초자연현상 연구가에 대해서 (0) | 2020.12.29 |
존 F. 케네디에 관한 FBI 기밀문서에 대해서 (0) | 2020.12.28 |
한국교회 최초로 세례를 받은 개신교인은 ? (0) | 2020.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