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box

바리스타 자격증 및 취업 현실 정리

Fox-Box 2020. 11. 20. 12:55
반응형

 

 

 

바리스타란 ?

바리스타라는 단어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되었는데, 

일반적으로 뜨거운 음료(에스프레소 등), 차가운 알코올 음료와 비알코올 음료,

그리고 스낵을 보관하는 뒤에서 일하는 남성 또는 여성을 먼저 "바텐더"라 하였다.

 

 그 복수형이 바리스타이다.

이탈리아어에서 복수형은 남성적인 것을 바리스티("바르멘", "바르텐"),

여성적인 것을 바리스테("바리스타")라 말한다.

 

 

 

 

 

 

 

바리스타 자격증, 한국에서도 필요해 ?

 

한국에서는 카페에서 일할때 바리스타 자격증이 필요 없다고들 많이 생각한다.

이는 커피의 진정한 맛을 느끼는게 아니고 단순히 커피로 돈을 벌려는 생각 때문이다.

최근 들어오는 외국계 커피회사들 중에서는 바리스타 자격증이 필요한 곳이 있기에

이러한 풍토가 점차 사라지길 바란다.

 

 

 

 

그럼 이제 자격증에 대해서 알아보자.

 

 

 

 

바리스타 자격증

 

먼저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하면 취듣할 수 있는 바리스타 자격증이 엄청나게 많다.

지금 대한민국에서 취득 가능한 모든 바리스타 자격증은 "비공인 자격증"이다.

이는 바리스타 자격증이 민간차원에서 발급된다는 뜻이다.

 

 

이것은 우리나라 뿐만 아닌 국외 나라에서까지 비공인 자격증으로 발급된다.

따라서 발급해주는 민간의 협회의 전통이 있고 권위 있는 곳에서

자격증을 취득하는것을 권장한다.

만약 듣도보도 못한 곳에서 자격증을 취득할 시 해외 또는 메이저 기업에 입사할 시

그 자격증이 큰 도움이 안될 수 있다.

 

 

 

 

응시 자격

 

필기시험 - 응시 제한이 없다

실기시험 - 필기시험을 합격한 후 실기시험 시행일까지 2년이 경과하지 않은 자가 응시할 수 있다.

 

 

 

 

필기 시험과목

 

  • 1급: 커피학 개론, 커피추출, 커피배전, 서비스 및 식품위생 등 바리스타(2급) 자격시험 예상문제집 포함
  • 2급: 커피학 개론, 커피추출, 커피배전, 서비스 및 식품위생 등
    • 시험시간은 60분, 합격기준은 매 과목 100점 만점에 평균 70점 이상이다

 

 

 

실기 시험과목

 

  • 1급: 사전준비자세, 에스프레소 평가, 카푸치노(라떼아트, 자유형식) 평가, 서비스 기술 평가, CUP TEST
  • 2급: 사전준비자세, 에스프레소의 평가, 카푸치노의 평가, 서비스 기술 평가
    • 합격기준은 매 과목 100점 만점에 평균 70점 이상이다.

 

 

취업 현실

 

먼저 바리스타는 기술직이 아닙니다.

이는 기능직으로서 기술직에 맞는 처우를 갖지는 않습니다.

또한 민간협회들이 돈을 벌기 위해 바리스타 자격증을 남발하다 보니

바리스타의 수가 엄청나게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바리스타에 환상을 가진 청년들이 바리스타가 되기 위해

이 업계에 몸을 담그는 현 상황입니다.

다만 정말 원하는 꿈이 만약 바리스타라면

도전해 보는것도 나쁘진 않을것 같습니다.

반응형